Bitcoin
השכלה

<엘리어트 파동 이론>

תמונת-בזק
엘리어트 파동하면 거의 무조건 나오다시피하는 도식이죠.
아주 기초적이면서도 파동이론의 큰 틀을 모두 담고 있는 그림입니다.
이 그림만 보고 이해할 수 있다면,
엘리어트 파동의 최소 70% 정도는 알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닐 것 같아요.

파동 이론이라는게 처음 접하면 엄청 어렵고 복잡해보여도
규칙 몇가지만 이해하고 잘 익혀두면
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습니다.
그리고 그 규칙들이 고작 이런 수준입니다.
<3파는 가장 짧을 수 없다>
<2파는 1파 저점보다 낮을 수 없다>
너무 간단해서 오히려 유치해 보일 정도죠.

다만 이런 규칙들을 다 알고
규칙끼리 서로 위배되지 않게 조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쪼오끔 귀찮을 뿐...

앞으로 포스팅은
1. 규칙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
2. 규칙들이 위배되지 않게 해석하는지 순으로 올려보겠습니다.

오늘은 제일 먼저 <파동이 뭔지>부터 보겠습니다.
תמונת-בזק
비트코인(XBT/USD)의 22년 3월 28일부터 10월 11일까지의 일봉 차트입니다.
각각 하나의 파동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을 선으로 그어놨습니다.
보기 이쁘라고 무지개색으로 칠했어요.
어떤건지 느낌이 오지 않나요?

★ 추세가 변하기 전까지는 하나의 파동으로 봅니다
★ 추세 변곡점마다 파동이 나뉩니다.
★ 저점을 깨지 않고 진행하는 동안은 파동이 유지되는걸로 봅니다.
이거 말고도 파동의 형태나 세부 파동의 모양등으로
판단하는 방법도 있는데, 이건 차차 알아가겠습니다.

תמונת-בזק
이건 22년 6월 19일부터 8월 15일까지의 4시간봉 차트입니다.
일봉에서 녹색선이었던 부분을 확대한거고요.
그 안의 세부 파동을 검은색 선으로 표시했습니다.
어떤건지 감이 좀 잡히시죠?

그런데 가끔 저점을 깨지도 않고, 고점을 올리지도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.
תמונת-בזק
소름돋게 횡보하는 무빙이죠?
특히 회색 네모칸 안 무빙은 비트 운전수 건강상태를 걱정하게 할 만큼
아무 가격 변화가 없습니다.
(119 콜)
이런 구간에서 파동은 어떻게 구분하느냐.
그냥 무시하시면 됩니다 ㅋㅋ
나중에 조정파동에서 자세한 이유가 나와요.
תמונת-בזק
회색으로 칠한 부분은 캔들은 많지만 그냥 파동 하나로 보셔도 괜찮은 구간입니다.

이 정도만 쪼갤 줄 알아도 파동 이론의 30%는 이해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.
결국 해석은 이렇게 쪼갠 파동들을 규칙에 맞게 잘 정리하는거니까요.

כתב ויתור